2024. 8. 10. 19:54ㆍ수능/수학
< 수학1 >
쎈 수학1: 개념과 병행하는 용도로 최고의 N제. 또는 개념을 빠르게 훑었으면, 개념 끝내고 보아도 좋음. 수능과 맞지 않는 형태의 문제들이 있는데, 그 문제들은 선생님(학교든 학원이든 과외든)의 도움을 받아서 거르면 됨.
수능특강 수학1(2024년, 2025학년도): 수능 연계 교재이므로 필수. 양은 적은 편. Level 1, 2, 3 중에서 3이 제일 어려운데 총 6개 단원이고, 각 단원마다 대략 level3가 3문제씩이라서 양이 많지 않음. level3는 쎈 C의 평균보다는 어렵고, 수능이나 모의고사 킬러(15,22)보다는 쉬움. 4점 짜리들 중에서 중간~중간보다 조금 더 어려운 정도인 듯.
수능완성 수학1(2024년, 2025학년도): 아주 어려운 문제들은 없고, 준킬러급 문제들과 고1 연계 문제들이 꽤 많음.
4의 규칙 시즌1 수학1(2024년, 2025학년도): 무난함. 쎈과 기출을 끝냈다는 가정 하에 좋음.
< 수학2 >
쎈 수학2: 수학1과 마찬가지로 매우 좋음. 다만 C단계에 가끔 나형 21번, 30번, 공통 22번 등 킬러 문제가 섞여 있어서 일부 문제는 아직 못 풀어도 됨. 그런 문제들은 선생님(학교든 학원이든 과외든)의 도움을 받아서 거르면 됨. 일부 수학적 자질이 뛰어난 학생들은 개념 배우자마자 쎈을 병행하면서 바로 그런 문제를 풀 수 있는데, 그런 학생들 일부는 역시 도움을 받아서 풀면 됨.
수능특강 수학2(2024년, 2025학년도): 수능 연계 교재라 선택이 아닌 필수. level3 문제도 너무 어려운 문제는 별로 없음. 22번 바로 아래 수준의 문제들. 대략 번호로 치면 20~21번 정도는 꽤 있음.
수능완성 수학2(2024년, 2025학년도): 아주 어려운 문제들은 거의 없고, 준킬러급 문제들과 고1 연계 문제들이 꽤 많음.
4의 규칙 시즌1 수학2(2024년, 2025학년도): 다항함수의 비율관계를 쓰는 문제가 너무 많음(공식 해설부터가 거의 다 비율 관계 씀). 수능이라고 하는 시험은 특정 편법 몇 개 암기했다고 해서 빠르게 풀 수 있는 시험이 아니라 기본과 정석적인 풀이에 근거해서 풀어야 하는데, 4의 규칙은 비율 관계나 편법을 쓰는 문제가 너무 많음. 추천하지 않음.
< 확률과 통계 >
수능특강 확률과 통계(2024년, 2025학년도): 실제 평가원이나 수능 시험의 킬러 확통 문제들보다도 훨씬 더 어려운 문제들이 level3에 꽤나 포진해있음. 이 정도면 차라리 미적분 킬러를 푸는 게 더 쉽겠다 쉬운 문제들이 2개 단원마다 한 문제 정도 꼴로 꽤나 많이 있음.
< 미적분 >
쎈 미적분: 수학1, 수학2와 마찬가지로 개념과 병행하기에 매우 좋음. 쎈 미적분에서는 C단계에도 수학2 C단계와 달리 극단적인 킬러 문제들은 없기 때문에 다 풀어도 됨.
수능특강 미적분(2024년, 2025학년도): 수능 연계 교재라 선택이 아닌 필수. 난이도가 수학1, 수학2에 비해 상당히 어려운 문제들이 많음. 특히 적분 파트에서는 외우지 않으면 풀기 힘든 유형의 문제들도 level2에도 존재할 정도.
수능완성 미적분(2024년, 2025학년도): 아주 어려운 문제들은 없고, 준킬러 급 문제들과 고1 연계 문제들이 꽤 많음.
4의 규칙 시즌1 미적분(2024년, 2025학년도): 상당히 어려움.